자동차 연재 입니다.
1.베터리 충전, 재생 해본 결과 https://bahk33.tistory.com/187
2. 소모품 교환 주기 (본글) https://bahk33.tistory.com/213
3. 5초 이상 시동 안걸릴때, 특히 재시동 안될때, RPM 0 일때, 크랭크 각센서 https://bahk33.tistory.com/214
4. 캠 각센서 (캠 샤프트 포지션) 교체 https://bahk33.tistory.com/220
======================================================= ==========================
본글 순서
1. 엔진 오일
2. 타이어
3. 브레이크 패드
4. 베터리
5. 매 10만 km 마다
1) 미션 오일
6. 150,000 km 넘으면
1) 알터네이터(발전기) 브러쉬 또는 레귤 레이터
2) 점화 플러그 와 점화 플러그 코일
3) 리브드 벨트 Ribbed Belt
4) 크랭크 각센서
5) 캠각센서(캠샤프트 포지션센서),
6) 냉각수온도 센서
7. 그외
10. 현대자동차 제공 교체 주기
----------------------------------
자동차의 모든 부품은 그 수명이 있읍니다.
즉 각 부품별 수명이 되면 교체 해 주어야 한다는 말이지요
제차는 2025년 현재 2016년에 구매한 아반떼-16 AD 를 17만 km 타고 있읍니다.
제가 영업은 아니지만, 그럭 저럭 20년 이상 출되근 하며 끌며 하는 것입니다.
뭐 정답은 모르겠지만, 나름 저만의 규칙이랄까 입니다.
먼저 신차를 사면 할일
> 언더 코팅 해 주셔요
- 부식 방지 등 좋아요.
1. 엔진오일: 10,000 Km 마다
> 고급으로 하면 15,000 Km 마다 갈아도 된다 하는데, 저는 그냥 일반 으로 10,000 km 마다 바꿉니다.
왜냐 하면, 기억 하기 편하니까요, 매 만키로 되면 바꾸는 거로,
단 새차 뽑으면 3000km 에 갈고, 1만에 갈고 그 이후 매 만 키로 마다 바꾸어 줍니다.
가끔 까먹고 15,000 넘을때 있었는데, 색깔이 않좋더군요.
> 보통형 6, 7만원 정도
2. 타이어 : 홈 깊이가 2mm 이하이면
> 홈이 깊을 수록 미끄러 지지 않는거 아시지요? 홈이 조금 남어 있다고 그냥 타시면 안됩니다.
홈이 없다면, 미끄러지고, 특히 겨울에는 큰일 남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이하면 갈어 주셔요,
물론 외부상처가 있든, 오래 되면 터질 확률이 커지니, 안끌고 다녀도 4~5년 되면 바꿔 주셔요
> 보통 앞에 새거 2개 달고 쓰던 앞에거 뒤에 달기도 하고, 버리기도 하고,
> 새거 2개 가격 ? 글쎄요.. 개당 10만원 정도 ?
3. 브레이크 패드 : 소리 나면,
> 패드가 다 달면, 소리 납니다. 그때 갈면 되는데, 조금 위험 하지요 ? 엔진 오일 갈때 마다 점검 하시고,
얼추 달은거 같다 하면 바꿔 주셔요.
> 가격은 5만원 정도
4. 베터리 : 한번 방전 되면,
> 3년 되면 바꾸라는 말도 있고 4년 넘어도 된다는 말 있는데, 어째든 3년 정도 되면 생각 하고 있다가,
방전 되면, 그때는 보험사 불러 점프 하시고, 인터넷 구매 해서 바꾸시면 됩니다.
> 가격은 교체 한거 반품 조건으로 7만원 (60L 일반형) 정도
5. 매 10만 km 마다
1) 미션 오일 은 10만km, 20만km 되면 바꿔 주셔요 : 공임나라 에서 자동의 경우 10만원 정도 하네요.
6. 15만 km 넘으면, ( 참고로 전 17만 키로에 아래거 6가지 다 바꾸었읍니다 - 알터네이터는 아니고 레귤레이터)
> 뭐 10만 넘으면 그때 부터 보장 기간 끝났다는것 차가 알고 이거 저거 고장 나기 시작 합니다.
30 만 타기 위해 15만 넘으면 고장이 안나도, 선제 조치로 바꿔어 주시는게 좋은 것들 입니다.
1) 알터네이터(발전기) 브러쉬 또는 레귤 레이터
> 발전기는 여러 이름으로 부르는 데 (발전기 / 알터네이터 / 제너레이터 - Alternator)
현대에서 쓰는 공식 이름은 알터네이터 입니다.
> 알터네이터를 통채로 바꾸지 않고, 부품만 바꾼다면
- 레귤레이터 + 브러쉬
- 슬립링
- 베어링 2개 ( 앞, 뒤 )
들이 소모 픔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 알터 네이터 안에 레귤 레이터가 있고 레귤 레이터 안에 브러쉬가 있읍니다.
발전기는 14.5 볼트 정도 만들어 주고, 이것을 레귤레이터가 적당히 하여 보내 주는 역활 입니다.
브러쉬만은 만원 아래 이고, 레귤 레이터는 3만원 정도 하는데, 알터네이터는 25만원 정도 하네요.
알터네이터는 20만 km 되면 바꾸라 하는데, 일단 가격이 부담 되고,
제일 먼저 손상 되는 브러쉬를 바꾸기로 하였읍니다. 그런데 브러쉬만 바꾸기 뭐 해서
레귤레이터(브러쉬 포함) 를 15만km 되면 바꾸는 거로 하고, 다음에 베어링, 풀리, 슬립링 바꿔야 할때는
그냥 새거로 바꿀까 합니다.
2) 점화 플러그 와 점화 플러그 코일
> 뭐 부조(차, 엔진 떨림) 이 나면 바꾸는데, 사실 제가 무디어 거의 못느끼는데, 17만 타서 바꿉니다.
> 가격은 점화 플러가 4개 1세트 2만원, 점화 플러그 코일 개당 2만원 4개 필요 해서 부품 값만 10만원 정도
> 음.. 이것은 연장만 있으면 직접 교체 가능 합니다.
3) 리브드 벨트 Ribbed Belt
> 알터에이터와 엔진 사이 연결 해주는 벨트 입니다.
> 레귤 레이터 바꿀때 같이 바꿔 주는게 좋을거 같네요. 그래야 공임이 조금이라도 적게 들어 갑니다.
> 부품가는 1만원 정도
4) 크랭크 각센서
> 사실 이거 고장 때문에 고생 하며 본 글을 씁니다.
> 자세한것은 다음 글 참고 하셔요. ( https://bahk33.tistory.com/214 )
> 부품가 : 16,000 원 정도 ( 25년도 ), 공임 : 3만원 정도 (공임나라)
5) 캠각센서(캠샤프트 포지션센서),
> 음, 이거는 영상 몇개 찾어 보시면 직접 할 수 있을거 같네요.
> 아반떼 AD, 는 캠이 2개라 2개 직접 교체 하였읍니다.
> 부품가 : 개당 12,000 원 정도 ( 25년도 ) , 아반떼AD 는 2개 필요 함,
공임 : 이건 직접 하셔요, 특히 머스마라면,
6) 냉각수온도 센서
> 부품가 : 10,000 원 정도
> 사실 이거는 고장 나도, 일단 크게 문제 되지 않아서, 선제 조치 안하고, 고장 나면 그때 하는 거로.
7) 워터 펌프 , 베어링, 풀리, 개스킷
> 워터 펌프 고장 나면 엔진 과열 되고 김이 왕창 납니다.
> 이때는 무조건 견인 해서 고치는게, 더 이상의 엔진 등 손상을 막아 줍니다.
> 개스킷이 망가지면 워터펌프에서 차 전면 중앙쯤에 누수가 보입니다.
> 공임 : 10만원 이상
8) 브레이크 오일
> 공임 나라에서 승용차의 경우 4만원 정도 하네요.
6. 그외
1) 에어컨 필터 : 봄에 한번,,, 가을에 한번 더 ?
2) 산소 센서 : 고장 나도 몇년 더탄다는 센서 이지만, 고장 나면 연비 않좋아 집니다. 어째든 고장 나면 고체하시면 됩니다.
% 부품 가는 현대모비스에서 일단 알아 보고, 웹(다음, 쿠팡) 에서 알아 보고
% 공임비는 공임나라에서 알아 봅니다.
10. 아래는 현대 자동차에 있는 내용 입니다.
> 제가 이야기한 교체 주기와 다른데, 돈, 시간, 등 여유가 있으신 분은 아래 내용을 잘 숙지 하시고
미리 미리 이행 하시면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됩니다.
자동차 소모품 교환 주기 | https://opohyundai.com/sub43 | |
품 목
|
교환 및 세정주기
|
운행조건
|
엔진오일
|
최초 5,000km | 고객 선택 항목 |
가솔린 매 7,500km / 디젤 매 10,000km | 가혹조건 / 수시점검 | |
6개월 / 년 2회 | 운행이 적은 차량 | |
엔진플러싱(세정)
|
매 2 ~ 30,000km
|
엔진내부 슬러지 발생시 / 합성유 오일로 교환시
|
점화플러그 & 코일, 베이블
|
매 40,000km(일반) |
매 40,000km 점검, 교환
|
매 80,000km(백금) | ||
연소실 플러싱(세정) | 매 40,000kn / 2년 | 플러그 교환시 동시 시행 권장 |
가열플러그(예열) | 매 40,000km / 2년 | 매 40,000km마다 점검, 교환 |
흡기라인 플러싱(세정) | 매 2 ~ 30,000km | 공기 흡입라인 스로틀바디 카본 및 슬러지 제거 |
타이밍밸트 | 매 60,000km | 일부차량 조기교환 |
매 80,000km | 5년이상 경과 차량, 시내주행 및 공회전이 많은 차량 | |
체인방식 : 워터펌프 베어링 SET | 매 80,000km | 10만km 점검 / 소음, 누유 발생시 즉시 교환 |
외부구동밸트 (휀) | 매 60,000km | 수시점검 이상시 교환 |
엔진 / 밋션 마운팅 | 매 8~10만km | 정차 중 진동시 / 누유 및 크랙 발생시 교환 |
변속기오일(밋션오일) | 수동 : 매 40,000km | 최초 10,000km 교환 |
오토 : 매 40,000km | 오염도와 오일량에 따라 수시점검 및 교환 | |
6속 이상 오토 (무교환) | 70,000km 주행시 ~ 가혹조건시 조기 교환 | |
디퍼런셜오일 | 매 20,000km / 2년 | 가혹조건,적재량이 많은 차량 교환 |
트랜스퍼오일 | 매 30,000km / 2년 | 통상조건 |
연료휠터 | 매 40,000km / 2년 | 가솔린, 커먼레일 디젤 필수 (수분발생 즉시 교환) |
매 40,000km / 2년 | LPI (LPG 가스 사용 차량) | |
인젝터클리닝(연료라인) | 매 40,000km / 2년 | 디젤차량 : 매연발생, 휘발유, 수분유입, 풀력부족시 |
LPI(LPG)차량 : 시동불량시, 엔진부조시 즉시 시행 | ||
브레이크패드 | 매 30,000km | 수시 점검 |
브레이크오일 | 매 3 ~ 40,000km / 2년 | 수분함량 및 오염시 비점 205℃이하시 교환 |
브레이크 디스크 연마 | 매 40,000km | 제동시 브레이크페달 떨리거나 소음발생시(육안점검) |
부동액 | 2년 & 40,000km | 냉각수 오염시, 비중 저하시 즉시 교환 |
냉각라인 플러싱(세정) | 매 40,000km / 2년 1회 | 냉각수 오염시, 녹 발생시 즉시 |
히터&에어컨 휠터 | 매 12,000km | 상태 : 통상조건 |
매 10,000km | 가혹 조건(비포장, 시내운전) | |
에어컨에바 / 히터클리닝(세정) | 년 1 ~ 2회 | 에어컨 / 히터 악취 발생시 |
에어컨 냉매점검 | 매 20,000km | 매 1년마다 점검 보충 |
매 40,000km | 매 3년 가스 및 냉동유 교환 | |
파워스티어링 오일 | 매 40,000km / 2년 | 오염 또는 조항력 증가시 교환 |
휠얼라이먼트 | 매 20,000km | 타이어 편마모, 핸들 쏠림시 수시 |
밧데리 | 3년 & 5만 km | 초기 시동 성능이 떨어질 때 (수시점검, 교환) |
하체 언더코팅 | 신차 출고시 권장 | 부식방지 및 소음감소 |
'상식 >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 각 센서 (캠 샤프트 포지션) 교체 (0) | 2025.04.05 |
---|---|
5초 이상 시동 안걸릴때, 특히 재시동 안될때, RPM 0 일때, 크랭크 각센서 자동차 (2) | 2025.04.02 |
자동차 베터리 충전, 재생 해본 결과, IBS 초기화: 시동이 안걸릴때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