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연재 입니다.
1.베터리 충전, 재생 해본 결과 (본글) https://bahk33.tistory.com/187
2. 소모품 교환 주기 https://bahk33.tistory.com/213
3. 5초 이상 시동 안걸릴때, 특히 재시동 안될때, RPM 0 일때, 크랭크 각센서 https://bahk33.tistory.com/214
4. 캠 각센서 (캠 샤프트 포지션) 교체 https://bahk33.tistory.com/220
5. 겉 벨트(Ribbed belt), 워터 펌프 세트 교체 , 주기, 비용 https://bahk33.tistory.com/225
======================================================= ==========================
본글 순서
1. 자동차 베터리 전압
2. 시동이 안걸릴때 원인
3. 베터리 정상 여부
4. 베터리 전압
5. 시동때 전압
6. 베터리 충전기
7. 차에서 베터리 빼기
8. 베터리 충전기로 충전
9. 베터리 충전기로 재생
11. 결론
13. IBS 초기화
============================
1. 자동차 베터리 전압
정상 | 불량 | |
시동전 | 12V이상 | 12V 이하 |
시동때 | 10V이상 | 10V 이하 |
시동뒤 | 12.6 ~ 14.4V정도 오르락 내리락 | 최고전압이 14V 이하면 발전기 이상 |
2. 시동이 안걸리면,
그 원인은 전자적으로는
>. 베터리 불량
>. 발전기(제너레이터) 불량
>. 기동 모터 불량
>. 그외 점화플러그, 센서 불량
그리고, 기름을 엔진까지 넣어 줄때 동작 하는 부분 등 여러가지 중 한가지 이상이면 안걸립니다.
하지만 대부분 베터리 불량이니 여기서는 그부분만 다룹니다.
3 베터리는 정상 여부를 일단 전압으로 측정 합니다.
일반 전압 측정기로 하셔도 되지만, 인터넷에서 시가잭 LED (여기를 누르셔요) ( 시가잭 LED ) 전압 표시기 ( 보통 1 만원 이하 ) 를 구매 하셔셔 평소에 자주 보시면 좋읍니다.
4. 베터리 전압은 "시동전, 시동때, 시동뒤 " 이렇게 3가지 인데 가장 중요한것은 "시동 때" 전압 입니다.
>. 시동 전에 12V ~ 14V 이면 정상 입니다. 12V 이하이면 불량으로 시동이 안걸릴 수 있읍니다.
베터리에서 측정 하니, 13 V 인데, 시가잭 전압은 12.1 V 나오네요
시동전에 베터리를 직접 측정 하거나, 브레이크에서 발을 때고 시동 버튼 누르면 시동이 걸리지는 앖고, LED 등 전면 화면이 켜진뒤 전압.
>. 시동 때는 10V 이상 나와야 합니다. 10V 이하면 시동이 걸리기 어렵읍니다. 즉 이전압이 가장 중요한 것이지요.
ON 시키니 시가잭 전압 11 V 나오네요
>. 시동 뒤에는 , 주행중
막 시동을 걸었을 때는 11V 쯤 나오다 점점 올라가서 얼마간 지나면 14V 이상(14.3V 쯤)으로 올라 갑니다.
즉 시동 뒤 전압은 ( 11 ~ 14 V ) 입니다.
시동걸린뒤 14.4V 이상까지 올라가면, 발전기 쪽은 이상 없다는 말 입니다.
제 아반떼 AD(2017년식) 은 12.6 V ~ 14.3V 나오네요
요즘은 주행중 완충이 되면 발전기 동작을 잠시 멈추었다가 전압이 지정값( 제차의 경우 12.6 V 정도) 으로
떨어지면 다시 발전기 동작을 하네요. 즉 주행중 전압이 12.6 V 과 14.3V 사이를 오르락 내리락 하는 군요.
5. 시동때 전압이 가장 중요 하다는 것은
시동 때 10V 가 안나오면, 기동 모터(스타트 모터, 세리 모다) 를 돌려 줄 수 없어 시동이 안걸립니다.
시동 전 12V 이상이라도, 베터리 용량이 모자라면 시동걸때 전압이 10V 이하로 떨어져 시동이 안걸리게 되지요.
그런데 이렇게 시동때 전압을 측정 하기가 사실 어렵지요, 금방 지나가니까요
6. 자 이런 베터리를 충전 하기 위해서는 시중에 많이 나와 있는 자동차 베터리 충전기 (여기를 누르셔요) 같은 것을 구매 하시면 됩니다. 20,000 원 정도
음 사실 조금 전기, 전자를 아시는 분은 일반 Power Supply 파워 써플라이 (여기를 누르셔요) 같은것이 있으면 꼭 전용 차베터리 충저기가 없어도 되지만, 그래도 전용이 간단하긴 합니다.
> 메뉴얼 첨부 합니다.
7. 베터리 빼기
1) 베터리 빼기 : 차에서 베터리 뺄때는 항상 - 극 부터 뺍니다.
반대로 베터리 연결은 항상 + 극 부터 합니다
연장은 일반적으로 2개 필요 합니다.
- 12 mm T (30cm)복스(베터리 고정 나사), : 3000 원 정도,
- 일반10mm 복스(+-극)
차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12mm T 복스 준비 하실때 차 뚜껑 열어 보시고 반드시 길이 등 확인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12mm 입니다,
2) 베터리 연결 : 차 베터리 연결은 항상 + 극 부터 합니다 ( 빼때는 반대 - 극 부터 )
- 베터리 전압이 표시 됩니다.
8. 전용 충전기 로 충전
1) 충전기에 베터리 연결 : 차 베터리 연결은 항상 + 극 부터 합니다.
- 베터리 의 현재 전압이 표시 됩니다.
2) AC 연결
- 220V 에 연결 합니다.
3) 동작 모드 선택
CAR : 일반적으로 이것을 선택 합니다.
AGM/GEL : CCA 가 일반적 베터리 이니 CCA 이면 선택 안하셔도 되고, 만약 AGM 등이면 이것 선택 하여 충전 합니다.
MODE :
Repair : 일반 충전 모드가 아니라 재생(비상) 충전 ( PULSE 충격 충전 ) 으로 할때 이니 재생 충전때만 선택 합니다.
일반 충전은 CAR 또는 AGM 으로 선택 하시면 됩니다. -- > 충전이 시작 됩니다.
표시는
- 충전 중에는 전압, 전류, 온도가 표시 됩니다. 충전 전압이 14.8V 까지 올라 가네요.
- 완충 되면 FUL 또는 OFF 가 표시 됩니다.
충전 시간은 애초 베터리에 얼마나 차 있냐 에 따라 다르지만 , 길면 10시간 정도 ( = 6A 로 충전 60 A 채우기 ) 걸립니다.
충전 전에는 시동이 잘 안걸려 12.08 V 였었는데,
FUL 표시되어 베터리 빼고 따로 전압재니 13V 나오네요 ? 응? 14.8V 로 충전 하는데 왜 13 볼트에 멈추지 ?
어째든 차에 끼고 시동 거니 잘 걸리네요.
한 3일뒤 ( 차 운전 안함 ) 전압 보니 12.5 V 나오네요.
음.. 빨리 방전 되는데 베터리 다 되었다 하는 생각이 드네요... 재생 모드 합니다.
9. 베터리 충전기로 재생
Repair 선택을 하면 PUL ( Pulse, 충격 ) 으로 표시 되며 충전이 시작 합니다.
시간은 더 많이 걸린다 하네요 길면 30시간도 ? 더 걸린다고,
저는 12.5 V 에서 재생 하니 4시간 만에 FUL 나와 전압 재보니 13.5 V
음.. 뭐가 먼지
일단 다시 장착하여 시동 거니 잘 걸리네요.
얼마나 갈지 ?
10. 위 8번에서 시동만 걸어 보고 다시 끈 상태에서 1주 정도 지나니,
12.5 V 나오네요.
> 즉, 재생 뒤 일주 만에 13.5 V 에서 12.5V 로 빠지는 거 보면, 재생이 안된거 같네요..
11. 결론
> 시중에 파는 자동차 베터리 충전/재생기 는 충전은 되는데, 재생은 글쎄요 였읍니다.
> 다쓴 베터리 ( 정격 용량 60 A 인데 이게 노화(?) 등이 되어 60A 가 안되는 때
충전/재생 을 하면 1주 정도 는 버티지만 그 이상은 무리라는 뜻이네요.
> 근데 저의 경우는 차를 1달에 1번 정도 모는 경우라, 그냥 베터리 갈기가 아까워서,
> 자동차 시동 보조 베터리 를 알아 볼까 하는데, 쩝 괜찮은것은 10 만원이 넘네요.
> 그냥 베터리 교체 하는거 알아 보면, 헌베터리 반납 조건에 싼것은 60A 기준 8만원 정도 하는데,
~~~~~~~~~~~~~~~~~~~~~~~~``
그 이후
12. 애초 증상이 시동이 잘 안걸린다 였읍니다.
> 시동 키를 5초 이상 눌러도 시동 모터는 도는데 시동이 안걸림
> 특히 50 km 이상 의 거리를 달린뒤 시동을 껏다가 켜면 안걸림, 즉 재시동이 안됨
그래서
> 충전기로 일반 충전 해보고, 재생 충전도 해보고, 새거로 교체도 하였는데,
같은 증상 나옵니다.
그래서 인터넷 알아 봤더니 베터리 교체뒤 IBS 센서 초기화 를 해야 한다 하여 그것도 했는데, 역시 마찬가지 군요
초기화는 아래와 같이 하였읍니다.
아 찾은 거 같네요.. 크랭크 각센서 문제 같읍니다. ( https://bahk33.tistory.com/214 ) 참고 하셔요.
13. IBS센서를 초기화하는 방법
* Intelligent Battery Sensor : 똑똑한 베터리 감지기
1) 차량의 블랙박스 내비게이션 등 전기장치 선을 빼놓습니다.
(실내등도 모두 끕니다.)
2) 엔진 뚜껑 열고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 옆에 있는 IBS센서 커넥터를 뽑습니다.
(차체와 연결된 선과 이어져 있습니다.)
3) IBS센서 커넥터를 2~5분 사이에 다시 꼽아 넣습니다.
4) 차 엔진뚜껑을 닫고, 리모컨으로 문을 닫습니다.
5) 차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로 리모컨으로 다시 문을 열고, 차에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그러면 20초쯤에 저절로 닫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4시간 뒤에 차에 와서 문을 열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ACC->계기판 켜짐->켜짐" 을 1회로, 최소 3회 이상 해주세요.
> 시동 버튼을 한,두번 누르면 ON 이 되며 계기판 불이 들어 오고 , 이때 한번 더 누르면 다시 꺼집니다.
7) 그 뒤 시동을 걸면 배터리 센서가 초기화되어 활성화됩니다.
'상식 >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겉 벨트(Ribbed belt), 워터 펌프 세트 교체 , 주기, 비용 (연재) (0) | 2025.05.03 |
---|---|
캠 각 센서 (캠 샤프트 포지션) 교체 (연재) (0) | 2025.04.05 |
5초 이상 시동 안걸릴때, 특히 재시동 안될때, RPM 0 일때, 크랭크 각센서 (연재) (2) | 2025.04.02 |
자동차 주요 소모품 교환 주기, DIY (연재) (0) | 2025.04.02 |